개발하면서
-
RethinkDB shutdown 관련 글을 읽으면서개발하면서/etc 2017. 2. 5. 22:07
평소 데이터 저장소 관련해서 CockroachDB, ArangoDB와 RethinkDB를 관심있게 보고 있었습니다. CockroachDB는 확장성과 Consistency를 ArangoDB는 다양한 모델 지원(K-V, Doc, Graph), RethinkDB는 real time 을 무기로 본인들의 DB가 좋다고 내세웠다. (순전히 저의 생각이에요.) 어느날 RethinkDB가 shutdown 했다는 트윗을 보게 되었습니다. 기술적으로 꽤 괜찮았다고 생각했는데 어떤 이유로 문을 닫는지 궁금해서 관련 글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부족한 영어지만 찾은 글들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https://rethinkdb.com/blog/rethinkdb-shutdown/ 공식 홈페이지 블로그에 올라온 shutdown 된다..
-
코드 리뷰, 커밋 메시지, 코드 컨벤션 정리개발하면서/etc 2015. 12. 31. 23:31
간만에 쉬는 시간을 갖게되어 branch 전략이나 커밋 메시지, 코드 컨벤션에 대해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했는지 살펴보고 정리 하려 한다. (그동안 정말 구현하기에 급급...ㅜ,ㅜ) 우선 이런 마음가짐으로 팀원과 맞춰가자 빡빡하게 하나부터 열까지 규칙 정하지 않고 널널하게 하자.(말이 애매한데, '굵은것만 정하자...'정도로 생각함) 실력있는 동료이니 조금 다른 규칙도 충분히 이해되기 때문에 그렇다. 조금 다르더라도 익숙해지도록 노력하고, 정~~말 익숙하지 않은 코드 스타일이 있다면 같이 얘기해서 수정해 나가면 좋겠다. 상대방을 존중하고 각자 성장을 원하는 개발자들이니까!! 존중과 신뢰, 그리고 코드 얘기만 해야지 사심이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하자 . 코드 리뷰 토스랩] 코드리뷰,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
-
3부 마무리했다.개발하면서/etc 2015. 3. 1. 00:09
와~!!! 콘솔쉘 마무으리!!! 키보드, 인터럽트, 타이머에서 원하는 동작을 하기위해 해당 포트에 정의된 데이타를 주고 받는다.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대해 자세히는 몰라도 대략적으로 어떻게 코드를 짜야되는지 맛을 봤던 좋은 시간이었다. 읽을때는 이해했는데 시간 지나고 다시 읽으려고하니 기억이 나질 않는다. 양도 많고, 기억력도 썩 좋질 않아서... 4부 가기전에 1, 2, 3부 정리 좀 하고 가야지 하나 아쉬운건 CS, DS와 실제 코드나 데이타가 메모리에 올라가는 관계에 대하여 명확하지가 않다... 써놓고도 뭔말인지...우선 직진이다!! ㅋㅋㅋㅋ
-
드디어 IA-32e모드로 넘어갔다!!!!개발하면서/etc 2015. 2. 19. 22:41
아~!! 드디어 IA-32e 모드로 넘어갔다. 의지가 약해서 듬성듬성 하다보니까 오래걸렸다. 이젠 놀만큼 놀았다고 생각해서 우직하게 준비해야되는데 동기부여가 아직 덜 됐나보다. ImageMaker때문에 이틀정도 걸렸다... WriteKernelInformation 함수에 lseek부분에서 오류가 발생! 이틀동안 삽질하다가 포기하는 마음으로 #include 추가해줬더니 정상동작했다!! : ) asm이나 간단한 C소스는 직접 입력했는데 ImageMaker, makefile, elf_xxx.x파일은 복붙했다. 앞으로 뭐가 있나 다시 봤는데...타이핑하는게 더 줄것같다ㅋㅋㅋㅋㅋ 10장에서 IA-32e 모드에 스택을 지정하는 부분이 있는데 Stack Segment를 0x10으로 설정하고 주석으 다음과 같다. 스택..
-
QuickList개발하면서/코드보면서 2015. 2. 4. 22:53
2015년 1월 초에 unstable에 merge된 QuickList에 알아본다.https://matt.sh/redis-quicklist 에서 나온 얘기를 조금 하고 코드를 보자 Redis에 List 자료구조는 일반적인 Linked list와 메모리를 절약을 위한 Ziplist두개가 있다.포인터를 이용하여 리스트 구현한것과 배열을 이용하여 리스트를 구현한것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list-max-ziplist-entries 512 list-max-ziplist-value 64 (노드 갯수가 512개 이상 || 저장하려는 값의 길이가 64 byte 초과)면 Linked list로 저장이 되고(노드 갯수가 512개 미만 && 저장하려는 값의 길이가 64 byte 이하)면 ziplist로 저장이 된다.재미진건 ..
-
BootLoader test개발하면서/etc 2015. 1. 25. 20:06
책산지는 거의 2년정도 된것같다. 혼자 커널을 공부하자니 막막해서 따라하기 식으로 하면 될것같아 덜컥 사버렸다. 1년전 시도했던것 같은데 환경 세팅하다가 흐지부지 됐던...으악!!! 진득하게 좀 하자!! 실습하면서 생긴 이슈나 깨달은것들을 남기기로 했다 나중을 위한것도 있지만 나 스스로에게 동기부여를 위해서?;;; 이번 포스트는 p.131까지 진행했다. p.59에 binutils 빌드를 하는데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intl이라는 라이브러리를 못찾겠다고 한다. 3년도 더 된 책이라 버젼이 많이 달라졌다. 뜨끔하면서 세월 더 지나가기전에 책 한번 봐야겠다는 의지가 생긴다. binutils빌드는 책보다 http://jsandroidapp.cafe24.com/xe/3171 보면서 하고, intl라이브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