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하면서/타인글보면서
-
OpenAPI와 스웨거를 활용한 실전 API 설계를 읽고 ... (3)개발하면서/타인글보면서 2024. 5. 10. 20:00
2부는 백지상태에서 서비스 오픈까지의 과정을 알아봤다면3부에선 펫시터 오픈 이후 API 확장과 진화되는 과정을 알아본다.OpenAPI의 고급 주제를 다룬다. 스프린트라는 단어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 시간 블록을 의미한다.1. 요구사항을 모두 확인하여 달성율을 판단하고 (회고, 피드백),2. 다음에는 어떤 걸 할 수 있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계획, 준비)한 스프린트에서 우선순위 목록을 나열하고 도메인 모델 재검토, 사용자 스토리 검토하는 내용이 나온다. 개인적으로 스프린트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건하나의 스프린트에 끝낼 수 있는 크기의 것으로 시작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임팩트라고 생각)요구사항이 크고 복잡하다면 한 스프린트에 달성 가능한 크기로 잘게 쪼개도록 의도적으로 ..
-
OpenAPI와 스웨거를 활용한 실전 API 설계를 읽고 ... (2)개발하면서/타인글보면서 2024. 5. 8. 20:20
지난 글에 선 만들어져 있는 API를 OpenAPI로 표현하는 법을 배웠다면이번에는 하나의 서비스를 백지상태부터 오픈기까지의 과정 소개한다. OpenAPI와 스웨거를 활용한 실전 API 설계를 읽고 ... (1)어느 날 DigitalOcean 블로그에서 "journey to Python Client generation" 글을 보았다. 최근 전자공시시스템의 OPENDART와 한국투자증권의 OpenKIS 연동하면서규격화된 무언가가 있어서 간단하고 빠르게 클라이dol9.tistory.com책에서는 아이디어 구상과 팀 구성, 도메인 모델 설계와 프로젝트 구현에 필요한 계획 수립 과정 등을 소개하는데그중 기술적인 부분만 일부 정리했다.실무에 적용하면서 겪을만한 내용들이 있으니 관심이 있다면 꼭!! 책을 읽어보길..
-
OpenAPI와 스웨거를 활용한 실전 API 설계를 읽고 ... (1)개발하면서/타인글보면서 2024. 5. 6. 20:00
어느 날 DigitalOcean 블로그에서 "journey to Python Client generation" 글을 보았다. 최근 전자공시시스템의 OPENDART와 한국투자증권의 OpenKIS 연동하면서규격화된 무언가가 있어서 간단하고 빠르게 클라이언트 코드 생성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던 차였다. DigitalOcean's journey to Python Client generationIn this blog post, we will dive into our journey of building our new Python Client, and how we used code generation to create the SDK.www.digitalocean.com 요약하면 DigitalOcean의 api를 O..
-
Kotlin 사용하면서 배운 10가지개발하면서/타인글보면서 2024. 1. 30. 09:42
IT 컨설턴트 회사 Xebia에서 Kotlin을 사용하면서 배운 10가지 정리한 글을 읽었다. https://xebia.com/blog/using-kotlin-in-a-java-project-10-lessons-learned/ Using Kotlin in a Java project: 10 lessons learned Kotlin Using Kotlin in a Java project: 10 lessons learned - Xebia xebia.com Java에서 Kotlin으로 넘어가면서 느낀 장점은 Null safety와 data class를 이용해서 boilerplate 코드가 눈에 띄게 줄었다는 점이다. 현재 업무로 Kotlin + Spring을 쓰고 있는데 (Java 보다는) 직관적이고 다양한 표..
-
incident.io에서 모놀리식 유지하면서 역할은 분리하는 방법개발하면서/타인글보면서 2023. 12. 16. 20:20
꽤 오래된 얘기지만 Monorepo로 코드 유지하면서 MSA 운영하는 게 심심치 않게 언급된다. 괜찮은 방법인가 보다. Monorepo로 운영하는 회사 다닌적은 없지만 Monorepo의 장점을 상상해봤다. 1. 회사에서 공통적으로 쓰는 라이브러리(DB 커넥션, 캐시, 유틸성) 2. 하나의 Repo로 유지를 하니 코드 검색이 쉽고 빠를 듯 MSA는 네트워크 비용과 모니터링, 회사 내 코드 컨벤션 통일 어려움, 추적이 쉽지 않다는 점이 단점이 있고, 장점은 타 팀에 의존이 덜해서 각 팀만의 개발 및 운영이 용이하고 특정 서비스에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서비스만 격리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Monorepo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회사는 구글이다. https://qeunit.com/blog/how-google..
-
도메인주도 설계 철저 입문 - 값객체, 엔티티, 도메인 서비스 그리고 의존관계개발하면서/타인글보면서 2023. 10. 22. 17:30
개발자를 막 시작하던 시기에 적절한 자료구조와 알맞은 알고리즘만 사용할 줄 알면 괜찮게 만든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아예 틀린 말은 아니지만.) 지내고 보니 위 생각은 기계쪽(?) 치우친 생각이었고 사람과 일하려면 도메인 파악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낀다. 서비스의 도메인을 이해하고 개발을 해야 쏟아지는 다양한 요구사항들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이는 결국 개발자의 생산성과 이어진다. 요즘 엔티티 정의를 어떻게 해야 잘할까...고민이 있어 집어 들었다. 값 객체 대표적인 값의 성질 내용은 변하지 않는다. (변하는건 값이 아닌 변수의 내용) 주고받을 수 있다. 비교할 수 있다. 원시 타입에 익숙한 개발자는 값 객체 표현을 위해 클래스가 많이 생성되는 것을 보고 껄끄러워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소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