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가면서/책읽으면서
[인문]지식형 리더 제갈공명의 스피드 독서전략
오산돌구
2009. 7. 10. 23:05
반응형
|
방대한 정보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잡기위해 두번째 독서관련 책을 읽었다.
우선 여기서는 책을 읽는 이유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즉 정보의 습득을 넘어서 그 정보에 대해서 생각하고 비판도 하기위해 다시말해 사고를 키우기 위함이라고 말한다.
독서의 이유를 알았으니 기억에 남는것을 적자면
독서의 정의 : 책의 저자와의 대화이다. 그냥 책만 읽는게 아니라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야 한다.
독서를 스키를 타듯이 단번에 읽어내려 가라. 의문이 풀리지 않더라도 표시만 해놓고, 그 자리에서 멈추지말라
속독을 하고 과연 책을 잘 읽은건지 의문이 든다면 : 사람의 기억은 그리 신뢰할 만한것이 아니므로 고민할 필요없다.
자신의 지식창고에 차곡차곡 쌓아있어서 필요할때면 책을 다시 읽으면 된다.
책을 읽고 있는 목적이 뚜렷해야만 그 결과 또한 분명해진다는 것이다.(이것은 독서뿐만 아니라 모든것에 통하는 말 같다)
세번째 독서관련 독서 지식을 경영하는 전략적 책읽기
|
기억에 남는것
1. 책읽은 시간이 좀 더 있었으면 바라는가? 차라리 오래 살고싶다고 바라는 것이 어떤가? (살면서 책읽는시간은 넉넉히 주어지는일은 없다는것을 강조)
2. 도서관은 마음의 주유소 (요새 목표가 흔들리는 나한테 책은 정말 큰 버팀목이 되어주고있다. 마음의 주유소...캬~)
3. 책을 읽을때 짜릿한 순간은 언제인가? 읽다말고 멍하니 허공을 바라볼때가 아닌가? (책을읽다가 자신만의 생각을 하기위해, 아니면 큰 깨우침을 얻었을때, 앞에서도 말했지만 독서는 일방적인 정보의 흐름이 아니다. 읽으면서도 끊임없이 저자에게 질문을 던지고, 대화를 하는식으로 해야한다. #물론 정보전달이 목적인 것은 우선 핵심을 짚는것이 우선이겠지만...
이상 책읽기 관련책은 그만.........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읽자. . .하지만 아직은 소설보다는 it관련서적이 더 눈에 밟히는것은 아직은 어쩔수없는 현실. . . .분야를 확장해가자 천천히, 서서히 물을 빨아들이는 종이처럼...
반응형